오늘은 심리학 용어 중 하나인 가스라이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엔 가스라이팅이란 용어를 한정적인 상황에서만 주로 사용했는데 최근엔 뭔가 유행처럼 번져서 딱히 심각한 경우가 아님에도 농담조로 이 단어를 사용하는 일이 많아진 거 같습니다. 자연스레 가스라이팅이 뭔지에 대한 개념까지 모호해지고 있는데요. 이게 정확히 뭔지, 어떤 상황에서 이 용어를 쓸 수 있는 것인지 오늘 딱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가스라이팅이란?
먼저 가스라이팅이 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스라이팅은 <가스등>이란 연극에서 유래된 용어로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연극 <가스등>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인공 잭이라는 남성은 아내 벨라를 억압합니다. 어느날 잭은 보석을 훔치기 위해 이웃집 부인을 살해한 후 보석을 찾기 위해 가스등을 켭니다. 당시엔 가스를 공유하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한쪽에서 가스를 키면 다른 쪽이 어두워졌습니다. 잭이 가스등을 키니 자연스레 벨라의 집이 어두워졌습니다. 벨라는 나중에 돌아온 잭에게 가스등이 어두워진 거 같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러나 이전부터 잭은 벨라의 물건을 훔치고, 벨라가 물건을 찾지 못하면 "왜 찾지 못하냐"고 지속적으로 잔소리를 했습니다. 이 일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니 벨라는 정말로 자기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결국 실제고 잭이 이웃집 부인을 살해한 후 가스등을 켰을 때도, 자신의 문제라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 이야기는 가스라이팅의 전형적 사례를 보여줍니다. 즉 어떤 사람이 틀렸고 난 맞으니깐 무조건 나를 따라와라. 이게 가스라이팅입니다.
사실 가스라이팅의 정의가 주관적이고 모호하기 때문에 어떤 수준까지 가스라이팅으로 봐야할지에 대한 논란이 항상 존재했습니다.
중요한 것은, 가스라이팅을 시도하는 사람의 의도라고 얘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엔 상대방을 조종하기 위해, 즉 내 요구를 관철시키려는 사람만 가스라이팅의 주체로 봅니다. 그러나 또 다른 한쪽에서는 의도를 하지 않아도 결론적으로 상대를 통제하고 조종한다면 가스라이팅이라고 볼 수 있다고 애기합니다.
가스라이팅 의 단계
가해자가 가스라이팅을 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피해자와 관계를 형성합니다.
2. 피해자의 기억을 왜곡 시킵니다. 피해자가 잘못하지 않은 걸 잘못했다고 계속 강조해서 판단력을 잃게 하고 가해자가 대신 판단합니다.
3. 미니마이징이 진행됩니다. 피해자에게 다른 사람들의 말을 무시하게 하고 가해자에게만 의지하게 만듭니다. 이 단계에서 피해자는 주변사람들이 피해자가 좀 달라졌다고 얘기를 해도 듣지 않습니다. 심리적으로 고립됩니다.
4. 다음은 무시 단계입니다. 가해자는 피해자를 대놓고 이상한 사람으로 몰아갑니다. 조금만 의심하는 말을 해도 피해자가 이상하다며 무시합니다. 피해자의 감정 기억 판단력 등 모든 걸 무시하고 잘못됐다고 강요합니다. 자아기능이 약해진 피해자는 자신이 정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통제 당합니다. 내 생각 및 감정이 옳은지 구분하기 힘들어집니다.
가스라이팅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몇 개 이상이면 가스라이팅이다 라는 기준은 없습니다.
제일 중요한 건 주변사람들의 시각입니다. 주변사람들의 얘기를 무시하고 있다면 사실 심각한 수준에 와 있다라고 보면 됩니다.
가스라이팅 벗어나는 방법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첫번째로는 자존감을 높여야 합니다. 내가 느끼는 감정 생각 판단을 믿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두번째로는 가해자의 전략을 파악하고 나를 도와줄 사람을 찾아야 합니다. 내 감정을 통제하는 것을 상대방의 의도라 생각해야 합니다. 믿을만한 사람들에게 평가를 대신 부탁합니다.
세번째가 가장 중요합니다. 이 모든 사실을 안 후에도 가해자와 싸우지 말고 피해야 합니다. 상대방은 심리적으로 능숙한 사람입니다. 자신의 말이 맞음을 증명하기 위해 싸워봤자 휘말리기 일쑤입니다. 그냥 "생각해볼게"라는 중립적인 대답을 하고 서서히 관계를 정리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가스라이팅과 가스라이팅 과정, 자가진단 및 벗어나는 방법까지 알아봤습니다. 가스라이팅은 특히 연인이나 부모 자식 관계에서 많이 일어나는데요. 아무래도 관계에 있어서 갑을 관계가 구축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그런 것 같습니다. 뭔가 내가 잘못한 게 없는데 상대방이 자꾸 내 잘못이라고 몰아간다면, 가스라이팅을 의심하고 상대가 나를 조종하지 못하게 미리 방어하는 전략을 취해야 할 거 같습니다.
'여행 > 도파민으로부터의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과 관련된 신경전달 물질 신경화학물질 종류 및 정의 (2) | 2024.01.01 |
---|---|
번아웃 증후군 증상 테스트 극복하는 법 '이것'만 알면 된다. (1) | 2023.08.24 |
조현병 증상 검사 자가진단 | 피해의식 심하면 보세요 (1) | 2023.08.22 |
이번 생은 망했다고 느낄 때 해야 할 일 (0) | 2023.08.21 |
부자들이 반드시 하는 2가지 습관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