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청소를 하다가 잠깐 쉬려고 유튜브를 보는데 좋은 영상을 발견해 두고두고 보기 위해 기록해 본다. 썸네일만 봤을 땐 '가난'한 사람들을 자극해 어그로를 끌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영상을 다 보고 나면 생각이 바뀐다. 이 영상에서 궁극적으로 얘기하고자 하는 바는 경제적 가난보다는 정신적 가난에 대한 이야기에 가깝기 때문이다. 부자들이 집청소에 유독 신경쓰는 이유, 가난할수록 방이 지저분한 이유 https://www.youtube.com/watch?v=o1CZ4oGuBW0 정리정돈이 중요한 세가지 이유 이 영상은 부자들이 정리 정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 3가지를 미스다 미츠히로의 '청소력'이라는 책의 인용을 통해 설명한다. 그 세 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더러운 집은 부정적 에너지를 끌어들인다*미..
마약을 끊고 금단증상에 시달리던 한 환자는, 체육 코치의 추천으로 찬물 샤워를 시작했다. 찬물 샤워를 처음 시작했을 때 그는 자살행위라는 생각이 들 만큼 고통스러웠지만, 일단 몸이 찬물에 적응하고 난 후엔 마약을 한 것처럼 기분이 좋아졌다고 한다. 찬물 목욕은 왜 짜릿할까? 프라하의 카렐대학교 과학자들은 10명의 남자 지원자가 한 시간 동안 찬물 속에 잠겨 있는 실험을 진행해 에 게재했다. 실험에 사용된 물의 온도는 섭씨 14도였다. 연구자들이 혈액 샘플을 살펴본 결과, 찬물 입욕은 혈장의 도파민 농도를 240퍼센트, 혈장의 노르에피네프린 농도를 530퍼센트 증가시켰다. 도파민은 찬물 목욕 중에 꾸준히 증가했고, 목욕을 끝낸 후에도 한 시간 동안 증가 상태를 유지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처음 30분동안 가..
우리가 모두 너무나 비참한 이유는, 비참함을 피하려고 너무 노력하기 때문이다. 이해하기 어렵지만 우린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우리가 그간 비참함을 피하기 위해 선택한 행동들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 현실을 외면하기 위해 도피한 술, 담배, 유튜브, SNS를 비롯한 도파민 탐닉과 중독이 우리를 어떤 수렁으로 밀어넣었는지. 그럼에도 우린 여전히 일시적 쾌락이 가져오는 무시무시한 고통의 결과를 제대로 이해하거나 직시하지 못하고 있다. 오늘은 과도한 도파민에 대한 탐닉이 왜 고통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지에 대해 '도파민네이션'과 함께 뇌과학의 측면에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도파민으로 인한 쾌락과 고통의 상관 관계를 도파민네이션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쾌락과 고통은 쌍둥이다' 신경과학자들은 도파민의 발견과 ..
통제하고 있는가, 통제당하고 있는가? 누군가 삶의 이유에 대해 물을 때 , 대답이 '불행'인 사람을 제외하곤 모두 유튜브를 비롯한 모든 SNS를 지우길 바란다. 아 물론, 통제력이 굉장히 뛰어나서 내가 저어엉말 필요로 하고, 내 행복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컨텐츠만 선별해서 소비할 수 있는 사람은 예외다. 나도 그런 사람이었다면 유튜브를 지우지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시대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유튜브를 적극 활용했을 것이고,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수단으로 썼을 것이다. SNS가 해롭다고들 하지만 분명 가치 있는 컨텐츠들도 많기 때문이다. 내가 도파민의 바닷속에서 탈출해야겠다고 결심한 것도 도파민의 바닷속에서 발견한 메세지 덕분이었던 것처럼. 내가 유튜브를 여태 지우지 않은 이유도 동일했다. 유튜브는 확실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