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const,var let let => es6부터 추가된 문법 let 명령문은 블록 스코프의 범위를 가지는 지역변수를 선언하며, 선언과 동시에 임의의 값으로 초기화할 수도 있다. let x = 1; if( x === 1 ){ let x = 2 console.log(x) //2 } console.log(x) //1 block scope ES6부터 let과 const가 도입되었는데, 이 두 키워드는 javascript에서 block scope를 제공한다. { let name = "ssal console.log(name) } console.log(name) //error 블럭 밖에서 블럭 내부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함 let vs var var let 차이 1. var는 hoisting(선언이 끌어올려지..
웹개발

정규표현식(/regex?/)란? 1950년 미국의 한 수학자 Stephen Cole Kleene에 의해 개발됨 유닉스 계열에서 텍스트와 같은 것등를 처리하고 프로세싱하는 데에 주로 이용되다가 현재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내부적으로 지원하고 있을 뿐 아니라 텍스트나 코드에디터에서도 정규표현식을 이용해서 검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정규표현식 표현 방법 /regex?/i 위와 같이 /를 이용해 나타내면 되고, / 안에 찾고자 하는 패턴을 작성해주면 되며, 어떤 옵션을 이용해 검색할 것인지 플래그(i)를 활용할 수도 있다. 정규표현식 문법 정리 Groups and ranges Character 뜻 | 또는 () 그룹 [] 문자셋,괄호안의 어떤 문자든 [^] 부정 문자셋, 괄호 안의 어떤 문자가 아닐 때 Q..
reduce() 함수란? 자바스크립트의 reduce함수는 배열의 각 요소를 순회하며 callback함수의 실행 값을 누적하여 하나의 결과값을 반환한다. arr.reduce(callback[, intialValue]) 파라미터 1. callback function이며 다음 4가지 인수를 가진다. accumulator - accumulator는 callback함수의 반환값을 누적한다. currentValue - 배열의 현재 요소 index - 배열의 현재 요소의 인덱스 array - 호출한 배열 callback 함수의 반환 값은 accumulator에 할당되고 순회중 계속 누적되어 최종적으로 하나의 값을 반환한다. 2. initialValue(Optional) 최초 callback 함수 실행 시 accumu..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성공적인 프로그래밍을 위해 부수효과를 미워하고 조합성을 강조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부수 효과를 미워한다 => 순수함수를 만든다. 조합성을 강조한다 => 모듈화 수준을 높인다. 순수함수 -> 오류를 줄이고 안정성을 높인다. 모듈화 수준이 높다 => 생산성을 높인다. 순수 함수 쉽게 말하면 인풋이 같으면 아웃풋도 항상 동일하단 뜻.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해보자 function add(a, b){ return a + b } console.log( add(10,5) ); //15 //결과가 늘 같으므로 순수함수이다. 1번 예시. a, b 에 무슨 값을 입력해도 항상 동일한 결과를 도출한다. let c = 10; function add2(a, b){ return ..